Frontend 2

[HTML] BootStrap에서 마진(margin) 패딩(padding) 사용하기

html을 꾸며주기 위해서 css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기초적이지만, html 파일 내부에서도 직접적으로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다. html 코드 내에서 스타일을 지정해주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1. html의 head 부분에 태그를 사용하여 필요한 디자인 적용 2. html의 각 태그 내부에 style 태그 적용 : 3. html의 각 태그 내부의 class를 통해 적용 3번째 방식에서 사용하는 방식의 마진&패딩 활용에 대해서 작성해보겠다. Margin과 Padding m : margin - 요소의 외부 여백 p: padding - 요소의 내부 여백 Margin과 Padding의 방향 top, bottom, left , right, x , y t : top - 상 b : bottom -..

Frontend/HTML&CSS 2023.06.16

[LINUX] vim 편집기 입력 에러

한창 쿠버네티스 실습을 하던 도중 vim 편집기를 사용하는데 갑자기 아무런 키도 안 먹히는 현상이 발생했었다. 실행 중이던 터미널을 다시 닫았다 켜야 할 것 같았는데, 그렇게 되면 진행하던 실습 내용이 저장이 안 되거나, 다시 하기에는 번거로울 것 같아서 해결 방법을 구글링 하다가 놀라운 걸 찾았다!! 편집기에서 아무런 입력이 되지 않았던 이유는 스크롤 락이 걸렸기 때문이다. 스크롤이란, 우리가 마우스의 휠을 상하로 작동하는 것이나 키보드 방향키의 상하좌우(↑ ↓ ← →)키를 통해 화면을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스크롤 락이 걸리면, 터미널 속 화면이 고정되어 페이지를 위아래로 더 넘길 수 없기도 하고, 키보드로도 입력이 되지 않는다. vim 편집기에서의 스크롤 락을 실행하는 단축키가 ctrl + ..

Frontend 2023.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