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Basic & Grammar 4

[파이썬] 람다(lambda) 함수

*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부정확한 부분이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발견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파이썬에서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반복되는 작업을 위해 함수를 선언해 주는 경우가 있다. 함수를 선언할 때는 함수의 이름과 매개변수, 함수에서 수행할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어떤 때에는 함수에서 한 줄의 간단한 코드만 수행해야 할 때도 있다. 이런 때는 함수로 정의해도 좋지만, 람다 함수를 사용하여도 좋다. 람다 함수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람다 함수는 이름없이 한 줄에 매개변수와 표현식만을 사용하면 된다. 람다함수는 정의한 곳에서 한 번만 사용가능하고, 일반 함수처럼 다시 불러와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간단한 함수를 사용해야 하면서 코드에서 두 번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면 람다 함수..

[파이썬] 예외처리 try, except

*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부정확한 부분이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발견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에러를 쉽게 마주칠 수 있다. 하지만, 에러가 발생하면 그 이후의 코드를 아무것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번거로운 부분이 있다. 그래서 코드에서 에러가 발생해도 이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예외 처리로 try, except문을 사용할 수 있다. 예외란? 문장이나 표현식이 올바르지 않을 때는 문법 에러가 발생되고, 이는 코드를 실행했을 때 출력단에서 에러가 난 코드의 위치와 에러를 알려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문법 에러가 없을 때도 에러가 일어날 때도 있다. 이렇게 코드를 실행했을 때 감지되는 여러 가지 에러를 예외라고 칭한다. 이런 예외의..

[파이썬] join 함수

*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부정확한 부분이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발견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파이썬으로 코테 문제를 풀다 보면, 여러 값으로 이루어진 결과를 한 줄로 출력해야 할 때가 있다. 가장 흔한 예시로, 문제를 풀게 되면 정답을 리스트로 만들게 되는 때가 있을 텐데, 이때 리스트 안의 값들을 한 줄의 문자열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 활용되는 것이 바로 join 함수이다! join 함수는 리스트를 원하는 구분자를 넣어서 연결하여 문자열로 반환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함수는 보통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구분자'.join(리스트) 작은따옴표 사이의 구분자의 자리에는 빈칸이나 문자가 아무거나 들어와도 된다. 만약 작은따옴표에 아무것도 넣지 않고 ''. join(리..

[파이썬] 리스트 정렬 - sort & sorted

입력받은 리스트를 정렬하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로는 sort와 sorted가 있다. sort() 파이썬의 메소드 중 하나로, 리스트의 내부 요소를 정렬해 주는 함수이다. sort 함수는 주어진 리스트를 정렬하고 덮어씌운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렬하고 싶은 리스트 뒤에 .sort()를 붙이기만 하면 된다! 오름차순 정렬이 기본값이고,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싶으면 괄호 안에 reverse=True를 작성해 주면 된다. # 오름차순 정렬 a = [3,7,2,4,6] a.sort() print(a) # 결과 : [2,3,4,6,7] # 내림차순 정렬 a.sort(reversed=True) print(a) # 결과 : [7,6,4,3,2] sorted() sorted 함수는 파이썬에 내장된 함수로써, 리스트의 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