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적코드분석 2

[QA] 정적 코드 분석(Static Code Analysis)

QA 과정에서  코드 품질 개선을 위해 코드 분석 및 테스트를 진행하게 된다. 코드 분석 과정에서도, 정적 코드 분석과 동적 코드 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번에는 정적 코드 분석을 다루어 보겠다.  정적 코드 분석이란?📌  실제 실행 없이 소스 코드를 검사하고 분석하여 버그, 취약점, 코드 품질 문제를 파악하는 것.      ↔ 동적 코드 분석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것.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런타임 환경에서 수행됨. 정적 코드 분석 과정에서는 코드 구조, 데이터 흐름, 제어 흐름을 검사하여 코드의 동작을 추론하고 문제점을 찾아낸다.일반적으로 정적 코드 분석은 개발 과정의 초기, 실제 소프트웨어 테스트 전에 이루어진다. 그렇게 되면 코드 품질을 향상시키고 보안 취약점을 줄이는 데 도움..

[QA] 소프트웨어 QA란 무엇인가?

이번에 QA 업무를 하게 되었는데, 그 과정 속에서 간략하게 학습한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우선 QA란 무엇일까? QA는 "Quality Assurance"의 줄임말로 단어 자체는 “품질 보증”을 뜻한다.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QA란 코드의 품질을 보장하는 것을 뜻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그렇다면 왜 코드의 품질을 신경써야할까? 가장 간단하게 말하면 개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운영 및 관리의 측면에서도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일 것이다.   가장 먼저 QA가 요구사항에 대해 꼼꼼히 분석하고 해당 요구들을 만족하는지 세세하게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확인하게 되면 고객과 실무자인 개발자 사이에서의 간극을 좁히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개발 과정에서도 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