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Data Structure 3

[자료구조] 스택(stack)

*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부정확한 부분이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발견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파이썬의 다양한 자료구조 중, 스택이라는 개념이 있다. 스택이란 무엇이고, 파이썬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겠다. 스택이란? 스택은 가장 나중에 들어온 정보가 가장 먼저 처리되는 후입선출 LIFO(Last In First Out) 구조의 자료구조이다.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예시로는 프링글스 통을 생각하면 된다. 빈 프링글스 통에 과자를 채울 때는 가장 밑바닥부터 채우게 된다. 우리가 과자를 꺼내 먹을 때는 가장 윗부분의 과자부터 먹게 된다. 이처럼 스택도 입력된 순서대로 앞에서부터 채워나가고, 저장된 데이터를 꺼내려고 하면 가장 최근 저장된 데이터부터 꺼낼 수 있다. 파이썬에..

[자료구조] 리스트, 튜플, 세트, 딕셔너리

*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부정확한 부분이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발견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이전 포스팅에서 여러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면서 문자열 자료형 및 세트와 딕셔너리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각 자료형마다의 특징이 뚜렷하고 다양한 연산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필요한 상황에 맞는 자료형을 골라 쓰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리스트, 튜플, 세트, 딕셔너리에 대해 비교,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1. 리스트 우리는 변수 하나에는 하나의 값만을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여러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그중 여러 값을 한 번에 저장하기 위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자료형은 리스트이다...

[자료구조] 변수와 다양한 데이터 타입(자료형)

*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부정확한 부분이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발견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변수(variable)란,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값을 저장해 둔 객체라고 볼 수 있다. 보통 변수이름 = 값으로 정의한다. 변수를 선언할 때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는 뒤에서 마저 알아보겠다. 우선 변수명은 자유롭게 정의해도 괜찮으나, 반드시 피해야 할 단어가 존재하기도 하고 특정 규칙이 존재한다. 변수 명명과 관련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변수내의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영문자와 숫자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글로 변수를 선언해도 되지만, 인코딩과 같은 자잘한 에러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많아 권장하지 않는다.) 변수명은 반드시 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