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제는 핀테크입니다! 핀테크라는 단어 자체는 생소할 수 있는데, 우리 생활 속에 핀테크는 이미 깊이 스며들어 있습니다.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하는 인터넷 뱅킹도 가장 전통적인 핀테크 기술이고, 애플페이,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와 같은 간편 결제 서비스도 핀테크의 한 종류입니다. 금융과 IT 기술의 융합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핀테크가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핀테크란?
핀테크는 Finance(금융)와 Technology(기술)의 앞부분을 따온 합성어입니다. 핀테크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다양한 IT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금융기법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서비스를 통칭합니다. IT 기술과 융합된 금융서비스 외에도, 관련 소프트웨어나 솔루션,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과 의사 결정, 위험관리, 포트폴리오 재구성, 성과관리, 시스템 통합 등 금융 시스템의 전반을 혁신하는 기술들도 모두 핀테크의 일부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핀테크를 다루는 회사들은 대부분 전통적인 금융 기업이 아닌, IT 기술을 접목하여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IT회사가 더 많은 편입니다.
핀테크 VS 전자 금융 (Electronic Banking)
핀테크의 정의를 살펴보고 나니 저는 가장 먼저 자연스럽게 인터넷 뱅킹을 떠올렸습니다. 인터넷뱅킹도 IT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의 한 종류인데 인터넷 뱅킹과 핀테크는 아예 다른 개념일까요?
전자금융은 기존 금융사의 가치사슬 내에서 IT를 통해 효율적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스마트폰 뱅킹을 비롯한 금융사가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는 전자금융에 속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전자 금융의 특징으로는 금융 업무에 IT 기술 적용을 통한 자동화, 전산화입니다. 인터넷뱅킹, 폰뱅킹, 모바일뱅킹, 자동이체, CD/ATM 등이 전자 금융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좀 더 넓은 의미로는 은행에서 제공하는 자동화기기에 의한 일처리나, 기업체가 은행과 직접 전산파일을 주고받음으로써 처리하는 업무도 포함합니다.
전자금융의 핀테크의 경계가 모호하여, 전자 금융을 전통적인 핀테크의 한 종류로 보는 시각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엄연히 같은 개념은 아니라는 거!
핀테크와 언번들링
핀테크와 관련된 핵심적인 특징은 언번들링(Unbundling)입니다. Unbundle이라는 단어는 '개별적으로 나누어 팔다'라는 사전적 정의를 갖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하나의 금융회사에서 금융 상품을 종합적으로 묶어 판매하고 있었다면, 현재는 핀테크를 통해 종합 판매되던 금융 상품을 쪼개서 단일 상품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핀테크 회사들은 하나의 금융 상품만을 전문적으로 다루게 되었습니다. 핀테크에 사용되고 있는 여러 기술과 해당 기술을 다루고 있는 기업들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빅데이터
빅데이터는 이름 그대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말합니다. 실제 정의는 일반적인 데이터 베이스 소프트웨어 도구로 저장 및 분석할 수 없는 대용량의 데이터 세트입니다. AI와 같은 기술을 통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핀테크 회사들은 수집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특징, 패턴, 상관관계 등을 도출해 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 특성 분석을 진행하여 각 고객의 특성을 도출해 내고, 각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2. 마이데이터
마이데이터란 개인데이터의 관리와 활용 권한이 정보주체인 개인에게 있음을 강조하는, 개인데이터 활용 체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입니다. 정의로 살펴보면 헷갈리기도 하지만, 다음과 같은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저는 A은행, B은행, C은행이라는 세 곳의 은행을 이용하며 각각의 계좌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각 은행에서의 제 개인정보는 다른 은행으로 공유되지 않고, 저는 원하는 은행의 잔액 조회나 입출금을 각각의 은행에서 따로 진행해야 했습니다. 그렇기에 본인의 개인정보임에도 불구하고 흩어져있는 정보를 모아 보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마이데이터가 도입되었습니다. 마이데이터의 도입을 통해, 개인은 각자의 데이터를 본인이 관리하며 활용 범위 및 활용처를 능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객의 입장에서는 여러 금융 회사에 흩어져있는 본인의 데이터를 통합 조회할 수 있게 되면서 개인 자금을 관리하고 운용하는데 소요되는 수수료 및 이자 부담을 덜 수 있었습니다. 또한 자금들의 거래 과정이나 혹시나 오랫동안 방치되고 있던 자금들에 대해서도 수시로 관리 및 확인할 수 있어 자금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런 마이데이터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뱅크 샐러드입니다. 뱅크 샐러드는 마이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소비 패턴에 맞는 카드상품 추천 서비스나, 개인의 필요목적에 맞는 보험 상품, 가장 합리적인 예금 적금 추천 서비스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도 실제로 뱅크샐러드 앱을 사용하고 있는데, 마이데이터를 통해 자동적으로 가계부를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기능이 굉장히 편리합니다!
3. 블록체인
블록체인은 분산 데이터 저장 기술의 한 종류입니다. 블록체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기존의 금융서비스는 중앙집중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데, 이런 서비스들은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모든 정보를 관리하기 때문에 장애가 발생하면 서비스가 중단되고 모든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게 됩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사용하게 된다면 각각의 거래내역인 블록들을 분산 저장 및 관리하기 때문에, 특정 블록에서 장애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나머지 블록들은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블록체인을 사용한 핀테크 서비스들은 고객들도 데이터의 관리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으면서, 해킹이나 변조의 위험성이 적어서 서비스의 신뢰성도 담보할 수 있습니다.
4. 간편 결제 서비스
간편 결제 서비스는 가장 보편화된 핀테크 서비스 중에 하나로, 이름 그대로 무료나 소액의 수수료로 빠르고 간편하게 결제하거나 송금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전까지의 거래 과정 속에서는 공인인증서나 보안카드를 반드시 사용하여야 했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하였습니다. 간편 결제 서비스는 이런 과정을 없애고 결제 과정을 단순화시켰습니다. 간편 결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계좌정보나 신용카드를 스마트폰 등에 등록하고 간단한 본인 인증만 있어도 됩니다. 본인 인증의 과정 속에는 지문인식, 얼굴인식과 같은 바이오 인증을 사용하기도 하고, QR코드, 근거리무선통신(NFC)을 통해 모바일 결제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국내의 대표적인 간편 결제 서비스에는 삼성페이(Samsung Pay), 카카오페이(Kakaopay), 페이코(Payco), 토스(Toss) 등이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게 Paypal을 통한 이메일 결제 서비스지만, 최근 들어 애플페이(Apple pay), 아마존페이(Amazon pay) 등이 있습니다.
5. 인터넷 전문은행
인터넷 전문 은행이란 모든 금융서비스를 온라인상에서 제공하는 은행입니다. 즉 오프라인 지점과 같은 물리적인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전통적인 은행과 다릅니다.
모든 서비스를 온라인에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24시간 365일 상관없이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신용불량자, 청소년 및 사회 초년생 등의 상대적으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힘들었던 고객층에게도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확대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다양한 고객층을 위한 금융 상품을 확대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금융서비스가 비대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또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잦기에, 보안 관련 문제에 다소 취약한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국내의 인터넷 전문 은행은 우리나라 최초의 인터넷 전문 은행인 케이뱅크와 더불어 카카오뱅크, 토스뱅크로 3가지가 있습니다. 해외의 인터넷 은행으로는 일본의 라쿠텐은행, 미국의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중국의 웨이중은행 등이 있습니다.
6. 로보어드바이저
로보 어드바이저는 로봇(Robot)+어드바이저(Advisor)를 합친 단어로, 투자 분야에서 가장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기술입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로봇이 개인의 자산 운용을 자문하고 관리해 주는 컴퓨터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자동화된 자산 관리 서비스입니다.
이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거쳐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 개인의 성향과 상황에 따라 맞춤 투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자산운용가의 역할을 합니다. 개인 자산 관리 서비스는 주로 자본이 여유로운 사람들만 사용했는데, 로보어드바이저를 통해 수수료는 낮추면서도 개개인의 고객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자산관리 서비스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국내에서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은행 및 증권회사로는 하나은행, 신한은행, NH농협, 미래에셋 등이 있습니다.
7. P2P(Peer-to-Peer) 기술
금융에서의 P2P(Peer-to-Peer) 서비스는 전통적인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개인 투자자와 신청자를 직접적으로 연결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핀테크에서 P2P기술은 크게 두 가지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 P2P 대출 ]
P2P 대출은 온라인에서 대출을 원하는 서민이나 중소기업 또는 여유 돈으로 높은 수익을 원하는 개인과 기업을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P2P 플랫폼은 기존의 은행을 통한 거래와는 다르게 자금중계만 담당하므로 이자수익 없이 수수료만 수익만 얻어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2P 대출은 은행 같은 전통적인 금융기관과 다르게 엄격한 리스크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예금자 보호 등의 투자자에 대한 보호를 거의 갖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아직 관련 내용에 대한 법규정이 안 돼서 대부업이 가능한 저축은행을 통해 유사 P2P 대출이 이뤄지고 있는 편입니다.
[ P2P 투자 ]
P2P 투자의 가장 대표적인 유형은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입니다. 군중 또는 다수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크라우드(crowd)와 자금조달을 뜻하는 펀딩(funding)을 조합한 용어로, 창의적 아이템을 가진 초기 기업가를 비롯한 자금 수요자가 중개업자(온라인 소액투자 중개회사)의 온라인 플랫폼에서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다수의 소액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입니다.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으로는 와디즈와 텀블벅이 있습니다.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에서, 개인이 자금 조달을 원하는 프로젝트를 게시하면, 해당 프로젝트에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들이 투자를 하는 시스템입니다.
핀테크 기대효과
앞에서 다양한 핀테크 기술 및 핀테크 기업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핀테크 산업의 발전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핀테크는 IT 기술이 다양해지고 발전할수록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더 많은 발전을 이루어낼 것입니다. 이 과정 속에서 소비자에게도 편리함을 가져다줌은 물론이고,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들도 결제 및 사업 수익 관리를 도울 수도 있습니다. 금융 업계에서는 금융 기업과 핀테크 기업들이 공정하게 경쟁하면서 기존 금융의 영역이 확장되면 금융시장의 효율성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핀테크 기업의 창업과 성장을 통해 좋은 일자리가 늘어나고,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비롯한 다양한 IT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들을 꾸준히 채용하며 일자리 창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핀테크의 전망
핀테크 업계는 특히 코로나19의 발생 이후, 비대면/모바일 결제 거래량이 늘면서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핀테크의 발전 속도가 더딘 편입니다. 그 이유는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시행으로 인한 규제 때문입니다. 금융소비자보호법은 허위 상품 중개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법률입니다. 핀테크 업체는 주로 소비자에게 다양한 금융 상품을 소개하는 역할을 하는데, 금융소비자보호법에 의하면 이 역할을 단순 광고가 아닌 '중개 행위'로 판단하고 규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핀테크 업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금융소비자보호법의 계도 기간을 늘리거나, 일부 규제를 완화해야 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결제와 송금등의 특정 분야를 넘어 금융의 전반적인 분야로도 확산될 수 있도록 금융 혁신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핀테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에게는 생소한 금융 관련 개념이 많았지만, 핀테크를 통한 서비스들이 이미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서 예시와 함께 보니 훨씬 더 이해하기 좋았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더 다양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๑ᵔ⩊ᵔ๑)
'KT AIVLE School 3기 > IT 트렌드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트렌드] 클라우드 컴퓨팅 (0) | 2023.06.08 |
---|---|
[IT 트렌드] 일론 머스크 (0) | 2023.05.04 |
[IT 트렌드] 디지털 트윈 (Digital Twin) (0) | 2023.04.18 |
[IT 트렌드] 펫 테크 (Pet-tech) (0) | 2023.04.05 |
[IT 트렌드] 블록체인 (Blockchain) (1)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