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2

[백준/파이썬] 1463번: 1로 만들기 풀이

🔗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463 1463번: 1로 만들기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6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DP의 가장 기초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 어찌저찌 풀긴 했으나,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기 위해 다양한 코드들을 살펴보고 이것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 문제 풀이 & 작성 코드 주어진 수를 3으로 나누거나, 2로 나누거나, 1로 빼는 연산을 반복하면서 1로 만들 수 있는 최소한의 연산의 횟수를 구하면 된다. 가장 적은 횟수로 만들려면 무작정 3으로 나눠보고, 안 나눠지면 2로 나눠보고, 그것조차 안될 때는 1로 빼는 식으로 계산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문제에서도 주어진 예시인데 10에 대해..

[백준/파이썬] 17427번: 약수의 합 2 풀이

🔗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7427 17427번: 약수의 합 2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 = BC를 만족하는 자연수 C를 A의 약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2의 약수는 1, 2가 있고, 24의 약수는 1, 2, 3, 4, 6, 8, 12, 24가 있다. 자연수 A의 약수의 합은 A의 모든 약수를 더 www.acmicpc.net 문제 이름 그대로 약수의 합을 구하는 문제이지만! 수학적인 계산을 사용해야 제대로 풀 수 있는 문제이다. 🔎 문제 풀이 & 작성 코드 문제에서 자연수 A가 있을 때, 이 자연수의 모든 약수를 더한 값을 f(A)로 표현하였다. 또한, x라는 자연수가 주어졌을 때 x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자연수 y(1~x까지)의 f(y)값을 모..

[백준/파이썬] 4375번: 1 풀이

🔗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4375 4375번: 1 2와 5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정수 n(1 ≤ n ≤ 10000)가 주어졌을 때, 각 자릿수가 모두 1로만 이루어진 n의 배수를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해당 문제에 대해 다양한 풀이 방법이 있던데, 그중에서 내 풀이를 간단하게 공유해보려고 한다! 🔎 문제 풀이 & 작성 코드 처음 문제를 보았을 때 잘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다시 읽어보니 어렵지 않은 문제였다. 모든 자릿수가 1로 이루어진 숫자 중에, n의 배수인 가장 작은 수의 자릿수를 출력하는 문제이다. 한 가지 특징이 있다면, 입력의 개수가 몇 개인지 주어지지 않았다는 점이 있는 것 같다. 이는 try&except의 예..

[자료구조] 리스트, 튜플, 세트, 딕셔너리

*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부정확한 부분이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발견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이전 포스팅에서 여러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면서 문자열 자료형 및 세트와 딕셔너리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각 자료형마다의 특징이 뚜렷하고 다양한 연산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필요한 상황에 맞는 자료형을 골라 쓰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리스트, 튜플, 세트, 딕셔너리에 대해 비교,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1. 리스트 우리는 변수 하나에는 하나의 값만을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여러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그중 여러 값을 한 번에 저장하기 위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자료형은 리스트이다...

[자료구조] 변수와 다양한 데이터 타입(자료형)

*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부정확한 부분이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발견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변수(variable)란,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값을 저장해 둔 객체라고 볼 수 있다. 보통 변수이름 = 값으로 정의한다. 변수를 선언할 때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는 뒤에서 마저 알아보겠다. 우선 변수명은 자유롭게 정의해도 괜찮으나, 반드시 피해야 할 단어가 존재하기도 하고 특정 규칙이 존재한다. 변수 명명과 관련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변수내의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영문자와 숫자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글로 변수를 선언해도 되지만, 인코딩과 같은 자잘한 에러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많아 권장하지 않는다.) 변수명은 반드시 영문..

[KT AIVLE School 3기] 수료식 후기

대망의 에이블 스쿨 마지막 포스팅! 수료식 후기를 작성해 보도록 하겠다. 6개월이라는 시간이 이렇게 빨리 갈 줄은 몰랐다~ 지금보다 더 많은 기록을 해뒀으면 하는 아쉬움, 하루하루 최선을 다했나를 돌아보면 한 번씩 해이해졌던 때도 있었던 것 같다. 그래도 많은 도전을 해왔으며, 마냥 시간을 그냥 흐르는 대로 보내지는 않았기에 고생한 나에게 작게나마 칭찬을 조금 해주고 싶다. 갑자기 감성에 젖어버렸는데, 얼른 본론으로 돌아가겠다. 수료식은 대면+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수료식 자체는 반별로 교육장에 대면 참석했지만, 실제 행사들은 줌으로 진행되었기때문이다! 대면 프로젝트하러 오던 교육장에 마지막으로 나온다고 생각하니 아침부터 기분이 묘했다 ㅎㅎ... 아침부터 도착해 보니 칠판이 아기자기하게 꾸며져 있었다. ..

[파이썬] 람다(lambda) 함수

*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부정확한 부분이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발견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파이썬에서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반복되는 작업을 위해 함수를 선언해 주는 경우가 있다. 함수를 선언할 때는 함수의 이름과 매개변수, 함수에서 수행할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어떤 때에는 함수에서 한 줄의 간단한 코드만 수행해야 할 때도 있다. 이런 때는 함수로 정의해도 좋지만, 람다 함수를 사용하여도 좋다. 람다 함수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람다 함수는 이름없이 한 줄에 매개변수와 표현식만을 사용하면 된다. 람다함수는 정의한 곳에서 한 번만 사용가능하고, 일반 함수처럼 다시 불러와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간단한 함수를 사용해야 하면서 코드에서 두 번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면 람다 함수..

[파이썬] 예외처리 try, except

*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부정확한 부분이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발견 시 댓글로 알려주세요!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에러를 쉽게 마주칠 수 있다. 하지만, 에러가 발생하면 그 이후의 코드를 아무것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번거로운 부분이 있다. 그래서 코드에서 에러가 발생해도 이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예외 처리로 try, except문을 사용할 수 있다. 예외란? 문장이나 표현식이 올바르지 않을 때는 문법 에러가 발생되고, 이는 코드를 실행했을 때 출력단에서 에러가 난 코드의 위치와 에러를 알려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문법 에러가 없을 때도 에러가 일어날 때도 있다. 이렇게 코드를 실행했을 때 감지되는 여러 가지 에러를 예외라고 칭한다. 이런 예외의..

[백준/파이썬] 2609번: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풀이

🔗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609 2609번: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첫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둘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소 공배수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나는 단순 구현으로 풀었는데 풀이를 찾아보니 유클리드 호제법을 사용하면 훨씬 간단하게 풀 수 있다! 머리가 무식하면 몸이 고생한다는 걸 체감했다... 🔎 문제 풀이 & 작성 코드 나는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정의에 입각해서 코드를 작성하였다. 두 수가 주어졌을 때 최대공약수는 두 수의 공통된 소인수들의 곱이고, 최소공배수는 두 수들의 공통된 배수중에 가장 작은 수이다. 최소공배수를 그래서 최대공약수는 gr..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필기 독학 합격 후기

하반기 취준의 시작을 장식한 건 정보처리기사 필기 취득이다. 정처기도 IT 관련 직종 지원 예정이라면 가지고 있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정처기에 대해 검색해 보았던 때가 마침 필기 접수 기간 전 주여서 고민 없이 다음 주에 바로 필기 접수를 했다. 정처기 역시 짧은 기간 준비했지만, 자격증 시험공부에 익숙해져서 그런지 어렵지 않았던 것 같다. 다행히도 정처기 관련된 배경지식은 꽤 가지고 있던 편이어서 그런 것 같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마저 설명하도록 하겠다. [ 시험 개요 ] 정보처리기사는 필기와 실기로 나누어져 있는데, 우선 필기를 응시했으므로 필기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다. 필기는 CBT, 즉 컴퓨터를 통해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진행이 된다. 시험 범위는 다음과 같다 1과목 소프트웨어..

Career Development 2023.08.03